-
플랫폼의 정의 (2주차)역기획/콘텐츠와 플렛폼(학교 수업) 2023. 3. 15. 22:43728x90반응형
플랫폼은 과거 지하철역의 승강장이라는 용어로 쓰였다.
사전적 의미로는 기차역에서 승객이 열차를 타고 내리기 쉽도록 평탄화 한 장소라고 한다.
하지만 현재 플랫폼이라고 말을 한다면 누가 승강장이라고 부를까?
플랫폼의 개념 이동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며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 산업 생태계 기반의 장소"
가 현재의 플랫폼이다
전통 비즈니스와 플랫폼 비즈니스의 차이점
전통 비즈니스
생산 -> 소비자 판매
즉 얼마나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때 오고 얼마나 비싸게 물건을 파느냐가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이다.
간단하게 삼성 갤럭시를 예를 들어 보겠다.
제작하는 비용을 줄이기(원가절감) -> 판매가격 상승
결과적으로 위 방식이 기업의 이윤 추구이다.
좋은 제품을 만든다는 것이 사업의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기준이 된다.
전통적인 비즈니스 방식 플랫폼 비즈니스
시장 제작 -> 둘 이상의 상호종속적인 그룹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교환을 촉진
즉 플랫폼에서 돈을 번다기보다는 플랫폼의 거래로 인해 돈을 모으게 되는 방식이다.
위와 같은 방식은 소비자와 생산자를 얼마나 매력적이게 구미를 당기냐가 문제다,
위의 예시는 넷플릭스로 예시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오징어 게임의 제작비는 254억이다.
만약 플랫폼이 아닌 KBS가 직접 제작했다고 하면 한 작품에 댈 수 있는 비용의 한계가 존재할 것이다.
구매자를 많이 끌어모으고 그 비용을 서로 분산해서 납부를 하다 보니 이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플랫폼 네트워크 방식 생산자와 소비자를 얼마나 얼마나 잘유치하느냐가 사업 성공의 기준이 된다.
조정자로 서의 사업 관리자란?
간단하게 예를 들어 보겠다.
우버는 우버 기사끼리 경쟁을 하기위해 어떠한 비싼 차를 몰던지 상관이 없다.
소비자와 생산자를 관리하면서 중간 수수료를 받으면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플랫폼이 등장하면서의 프레카 리아트
서울대 유기윤 교수팀이 전망한 내용은 위와 같다.
1계급은 플랫폼 기업이 가져가고
2계급은 인기 정치인, 연예인 같은 스타
3계급은 사회 전반의 일자리를 대체할 AI
나머지는 단순 노동자라고 한다
내 생각에는 나와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동자가 될 것이다.
전세계 시가총액 지금 보더라도 어느 정도 위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 같다.
플랫폼의 개념
1. 온라인에서 생산, 소비, 유통이 이루어지는 공간
2.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서비스나 콘텐츠가 구현되는 환경
3.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게 하는 기반
위 3가지를 플랫폼이라고 정의하겠다.
플랫폼 생태계
1. 플랫폼 창여자들의 자연스러운 연결과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
2. 양측 모두에게 새로운 혜택과 가치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생태계
카카오톡 플랫폼의 생태계 위 사진은 카카오톡 플랫폼의 생태계이다.
카카오톡은 채팅앱으로 시작하여서 게임, 금융, 쇼핑, o2o, 커머스, 투자, 콘텐츠 등등 다양한 생태계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선순환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플랫폼 비즈니스와 서비스
플랫폼 비즈니스의 개념은 위에서 설명을 했다. 조금 더 자세하고 개념을 명확하게 잡고 넘어가겠다.
플랫폼 비즈니스 개념
-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와 사용하는 수요자인 두 그룹이 참여
- 각 그룹이 얻고 싶어 하는 이득이나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나눌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 제작
플랫폼 비즈니스
- 서비스는 쓴 만큼을 대가를 지불하는 Pay to Use 개념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원하는 순간에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의 핵심요소들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원하는 순간, 원하는 방식으로 오는 것은 쿠팡을 볼 수 있다.
플랫폼의 역할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플랫폼의 공간
- 거래 공간 제공
- 거래 규칙 설정
- 코디네이터
플랫폼의 공간은 위의 3가지로 정의된다.
거래 규칙설정은 지금까지 있던 룰을 바꾸는 것이다.
중고나라와 당근마켓을 생각하면 중고나라에서는 네고가 생각보다 어렵다.
이유는 택배거래가 주를 이루고 비대면인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당근마켓의 경우 네고가 생각보다 쉽다.
위의 형태는 같은 동내에 살고 있다는 소속감과 더불어 온도라는 레벨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조금 차이가 있지만 거래규칙이 바뀐 것이다.
SM 인수전쟁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31513031516902
방시혁 "SM 인수중단, 만족…이수만 반응 '왜 그만해?' 였다" - 머니투데이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 인수 중단 결과에 만족한다고 밝혔다.방시혁 의장은 15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관훈포럼'에 참석...
news.mt.co.kr
갑자기 하이브의 SM 인수전쟁이 왜 나오나 싶을 수 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수업을 들으면서도 똑같은 생각이었지만 설명을 듣고 조금 놀라웠다.
하이브는 이미 만족하는 바를 거두었을 것이다라는 느낌으로 말씀하셨는데 나 또한 그 생각이 되었다.
"이번 인수에서 후퇴하면서 플랫폼에 관해 카카오와 협의를 끌어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만족한다"
본문의 내용 중 하나이다.
하이브는 위버스라는 플랫폼을 가지고 있다.
위의 플랫폼은 팬들과 가수를 연결시켜 주는 플랫폼이다.
위 플랫폼은 YG, JYP, 하이브의 소속 가수들이 들어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4대 대형 기획사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SM만 들어온다면 우리나라에서는 독주체제로 달리게 된다.
어떤 중소 기획사가 이와 비슷한 플랫폼을 만든다 하더라도 위버스에 들어가지 중소기업 플랫폼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다.
플랫폼은 한번 독주하게 된다면 웬만해서는 순위가 꺾이지 않는다.
우리가 카카오톡을 욕하지만 카카오톡 점유율이 1위에서 2위로 꺾인 적은 없다.
이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양면 시장이란?
양면시장
1. 장티롤 교수가 제시한 개념이다. (2014 노벨 경제학상 대상자)
2. 공급자 - 수요자로 이루어진 단순 시장구조와 달리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여러 그룹이 거래하는 시장
3. 소수의 대기업의 독과점으로 인한 시장 실패를 분석하고 독과점 시장은 결국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낼 것이라고 주장
4. 새로운 양면시장의 가능성
5. 시장이 두 개의 사용자 집단으로 이루어지며 이 두 집단을 중계하는 형태의 시장
6. 사업자는 중개 경제 플랫폼의 형태를 띤다
7. 각 사용자 집단에서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8. 양면 시장에서 플랫폼 사업자는 거래의 중복이나 거래비용 최소화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간단하게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 G마켓이라는 오픈마켓이 존재한다.
1번 고객 : 물건을 사는 소비자.
2번 고객 : 물건을 파는 입점 소비자
플랫폼 사업자는 양측의 거래 혹은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과 편의를 제공해줘야 한다. 또한 상황에 따라 발생하는 수수료를 두 그룹 또는 한 그룹에 받는다.
위와 같은 형태로 중계를 해주면서 거래비용을 최소하 해주는 것이다.
수수료를 받는데 왜 거래비용이 최소화냐고 묻는다면
기존에는 백화점에 입점하거나 가게를 구했어야 하지만 그 금액에 비하면 수수료는 엄청나게 낮아진 것과 같다.
728x90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