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기숙사 프로젝트 사용 기술개발/회고록 2023. 10. 13. 15:07728x90반응형
개발도구 저번에는 소통을 위한 개발도구를 설명했다면 이번에는 프론트엔드가 개발을 위해 사용한 기술을 설명해 보려고 한다.
스프링, java는 백엔드, mysql은 벡엔드에서 사용한 기술이라 정확히 잘 몰라 패스하도록 하겠다.
프론트엔드는 2명이서 제작을 하였으며 디자이너 없이 제작을 하다 보니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내가 기획한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을 하였는지, 잘 진행이 되었는지, 등등 중간중간 확인을 해야 했고, 중간중간 내 의도와 다른 부분은 계속 수정을 요청했다.
React
React 기술 React기술을 사용했는데 React를 사용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었다. 그것을 나열해 보도록 하겠다.
- 컴포넌트 기반이다 보니 개발분담을 잘 할 수 있었다.
- 가상 DOM을 사용하여 렌더링 비용을 아낄 수 있다.
- 새로고침을 줄여 사용자의 몰입을 깨지 않기 위해 사용하였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대표적인 이유는 위 3가지가 있었다.
React를 사용하다보니 조금 더 react 구조에 대해 알게 되었고 useMemo, useEffect, React.Memo, CallBack에 대해 조금 더 조사하게 되었고 최적화에 대해서도 조금 더 공부하게 되었다.
TypeScript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조합으로 이용하였는데 JavaScript를 이용하지 않고 TypeScript를 이용한 이유는 딱히 크게 없다. 하지만 굳이 얘기하자면
- javascript보다 typescript가 에러를 찾기 수월하다.
- 타입을 지정하다보니 타입에 대한 에러를 미리 찾을 수 있고 우리는 페이지 제작이 많다 보니 그만큼 코드의 양도 많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런타임 에러를 줄이기 위해 썼다.
- 데이터를 확인하기 수월하다.
- 타입지정을 하다보니 데이터 확인이 수월하였음
Styled-Components
styled-components css는 styled-components를 사용했다. 사용한 이유는 컴포넌트별로 CSS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사용하였다.
CSS는 사실 별로 특별한 기술이 아니라 기술할 부분은 없는 것 같다.
Vercel
vercel 화면 vercel은 실 배포가아닌 프론트와 벡의 소통을 위해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제작기술이라고 할 수 는없지만 vercel로 배포를 하는 사람들도 있기에 그냥 제작 쪽에 적게 되었다.
실제로 벡엔드에서 테스트도 가능하며, github에 marge를 할 경우 자동을로 연동되어 빌드를 하고 자동배포를 한다.
프론트에서는 이렇게 진행이 되었다. 다음 편은 후기로 작성하려고 한다.
1차 배포의 마무리를 다음 편에서 다룰 생각이다.
728x90반응형'개발 > 회고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기숙사 프로젝트 사용 기술 (0) 2023.10.12 (#1) 기숙사 프로젝트 시작 이유 (1) 2023.10.03